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Invest KOREA

검색
※ 아래 버튼을 클릭하시면 맞춤정보 검색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춤정보 검색 서비스 바로가기

산업동향

  • Home
  • 유망산업·입지
  • 최신 산업정보
  • 산업동향
[2025년 2월] 산업동향
작성일
2025.02.18

산업 전반

2024년 11월 산업활동은 전산업생산(전기비 △0.4%)이 건설업(△0.2%) 부진 등으로 소폭 감소했습니다. 광공업은 자동차 부품사 파업에 따른 생산차질 등으로 감소(전기비 △0.7%) 했으나, 전년동기비로는 반도체 생산이 큰 폭 증가(11.1%)하며 플러스(0.1%)를 이어갔습니다.
11월 한국의 산업 활동
전산업 생산 광공업 서비스업 소매판매 설비투자 건설기성
‘24.11월(%) ∆0.4 ∆0.7 ∆0.2 ▲0.4 ∆1.6 ∆0.2
11월 광공업은 반도체 역대 최대 생산에도 車 부품업체 파업에 따른 생산 차질 등으로 감소(0.0→△0.7%)하였습니다. 서비스업은 숙박・음식・소매업종 등 개선에도 은행 가계・기업 대출증가세 둔화 등으로 금융・보험업을 중심으로 감소(0.6→△0.2%)하였습니다. 소매판매는 내구재(△ 0.1%), 비내구재(△ 0.7%) 감소에도 의류・신발 등 준내구재(4.1%) 증가로 상승(△0.8→0.4%)하였습니다. 설비투자는 그간 큰 폭 상승에 따른 기저영향을 받는 가운데, 운송장비 개선에도 기계류가 줄어들며 감소(△5.9→△1.6%)하였습니다. 건설기성은 건축 부진으로 감소했으나, 플랜트 등 토목 개선으로 감소폭은 축소(△4.1→△0.2%)되었습니다.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건설기성액 및 내수 출하가 감소하며 하락하였습니다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건설수주액, 기계류 내수출하지수가 증가하며 상승하였습니다.

우리 경제는 최대한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간다는 목표하에, 2025년 경제정책방향」을 통한 기금운용계획 변경, 공공기관 추가투자, 정책금융 등 가용재원을 총동원해 내수 등 경기 보강이 필요하겠습니다.

※ 출처 : 기획재정부 (moef.go.kr)

산업별

자동차

‘수출, 역대 10월 중 최대 실적 기록 속 증가세 지속’
→ 10월 수출은 완성차와 부품 모두 대미국 수출 호조에 힘입어 전년동월비 5.6% 증가하며 2개월 연속 증가하였습니다. 9월 내수는 전년동월비 보합세를 유지하였지만, 신차효과와 공급 물량 확대에 힘입어 전월비 2.6% 증가하며 6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하였습니다. 9월 생산은 신차효과에도 불구하고 대형 승용차 감소로 보합세를 지속하였습니다.

조선

‘수출은 기저효과로 감소하였으나, 생산, 가동률 개선세 지속’
→ 9월 생산지표 모두 전년동월비 두 자릿수 증가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10월 수출은 고부가가치 선박들이 인도되며 연평균 이상의 수출을 기록했으나, 전년동월의 높은 증가에 따른 기저효과로 28.5% 감소하였습니다. 9월 수입은 58.7% 증가했는데, 선박뿐 아니라 선박용 엔진, 부품의 수입이 함께 늘어난 영향을 받았습니다. 9월까지 우리나라 누적 수주는 카타르의 LNG선 대량 수주를 비롯하여 대형 컨테이너선, 탱크선 등을 수주하며 전년동기비 22.2% 증가하였지만, 하반기부터는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일반기계

‘생산, 수출 부진으로 감소’
→ 9월 생산은 설비투자, 기계수주 등 내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출이 감소하며 전년동월 대비 0.6% 감소하였습니다. 10월 수출은 미국으로의 감소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8.1% 감소하였습니다. 9월 수입은 전방산업의 수요 회복 지연으로 전년동월비 5.3% 증가하였습니다.

철강

‘생산은 감소세 지속, 수출은 증가로 전환’
→ 9월 생산은 성수기 진입에도 불구하고 추석 연휴와 내수 부진 및 설비보수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3.3% 감소하였습니다. 10월 수출은 내수 부진을 만회하기 위한 기업들의 수출 확대 기조와 아세안, EU 등으로의 수출 확대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8.8% 증가하였습니다. 9월 수입은 중국으로부터의 물량 확대에도 불구하고, 내수 부진에 따른 일본, 미국 등으로부터의 감소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2.5% 감소하였습니다.

정유

‘수출, 단가와 물량 동반 감소로 전년동월비 큰 폭 감소’
→ 9월 생산은 정제마진 약세 지속에도 불구하고 상향 조정된 국내 정제시설 가동률이 유지되며 전년동월비 1.4% 증가하였습니다. 10월 수출액은 단가 하락이 지속되는 상황 속에서 국내 정제설비 정기보수 등에 따른 물량 감소로 전년동월비 34.9%나 감소하였습니다.

무선통신기기

‘10월 수출, 글로벌 수요 개선 및 부품 확대로 전년동월비 19.7% 증가, 8개월 연속 증가’
→ IT 디바이스 교체주기 도래 및 중국 경기부양책, 미 대선 이후 경기 회복 기대감 등에 따라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 증가세가 본격화되었습니다. 9월 생산은 수출 회복에 힘입어 전년동월비 10.1% 증가하고 출하도 36.7% 증가했으며, 이에 따라 가동률 역시 26.6% 상승하였습니다. 9월, 미 애플 신제품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면서 무선통신기기 수입은 전년동월비 59.9% 큰 폭 증가하였습니다.

반도체

‘수출 호조세 지속’
→ 10월 수출액은 125억 4,400만 달러로 전년동월비 40.3% 증가하며 10월 월간 역대 최대수출액을 경신하였습니다. 9월 반도체 생산지수는 160.3으로 전년동월비 3.0% 하락하였으며, 전월비 또한 2.6% 하락하였습니다.

디스플레이

‘전년도 호실적 및 관련 산업 둔화 영향으로 생산 및 수출의 감소세’
→ 10월 수출은 전년도 호실적 및 최근 IT 가전제품 수요 둔화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22.7% 감소하였습니다. 9월 생산은 전년동월비 0.3% 감소하며 출하(-0.2%) 및 재고(-3.3%)도 각각 감소하였습니다.
* 수출은 직전 달, 생산은 전전 달 자료가 통계청 최신 자료임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 출처 : 산업연구원(kiet.re.kr)

메타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