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 Home
- 유망산업·입지
- 최신 산업정보
- 산업동향

산업 전반
전산업 생산 | 광공업 | 서비스업 | 소매판매 | 설비투자 | 건설기성 | |
---|---|---|---|---|---|---|
‘24.11월(%) | ∆0.4 | ∆0.7 | ∆0.2 | ▲0.4 | ∆1.6 | ∆0.2 |
우리 경제는 최대한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간다는 목표하에, 2025년 경제정책방향」을 통한 기금운용계획 변경, 공공기관 추가투자, 정책금융 등 가용재원을 총동원해 내수 등 경기 보강이 필요하겠습니다.
※ 출처 : 기획재정부 (moef.go.kr)
산업별
자동차
→ 10월 수출은 완성차와 부품 모두 대미국 수출 호조에 힘입어 전년동월비 5.6% 증가하며 2개월 연속 증가하였습니다. 9월 내수는 전년동월비 보합세를 유지하였지만, 신차효과와 공급 물량 확대에 힘입어 전월비 2.6% 증가하며 6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하였습니다. 9월 생산은 신차효과에도 불구하고 대형 승용차 감소로 보합세를 지속하였습니다.
조선
→ 9월 생산지표 모두 전년동월비 두 자릿수 증가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10월 수출은 고부가가치 선박들이 인도되며 연평균 이상의 수출을 기록했으나, 전년동월의 높은 증가에 따른 기저효과로 28.5% 감소하였습니다. 9월 수입은 58.7% 증가했는데, 선박뿐 아니라 선박용 엔진, 부품의 수입이 함께 늘어난 영향을 받았습니다. 9월까지 우리나라 누적 수주는 카타르의 LNG선 대량 수주를 비롯하여 대형 컨테이너선, 탱크선 등을 수주하며 전년동기비 22.2% 증가하였지만, 하반기부터는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일반기계
→ 9월 생산은 설비투자, 기계수주 등 내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출이 감소하며 전년동월 대비 0.6% 감소하였습니다. 10월 수출은 미국으로의 감소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8.1% 감소하였습니다. 9월 수입은 전방산업의 수요 회복 지연으로 전년동월비 5.3% 증가하였습니다.
철강
→ 9월 생산은 성수기 진입에도 불구하고 추석 연휴와 내수 부진 및 설비보수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3.3% 감소하였습니다. 10월 수출은 내수 부진을 만회하기 위한 기업들의 수출 확대 기조와 아세안, EU 등으로의 수출 확대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8.8% 증가하였습니다. 9월 수입은 중국으로부터의 물량 확대에도 불구하고, 내수 부진에 따른 일본, 미국 등으로부터의 감소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2.5% 감소하였습니다.
정유
→ 9월 생산은 정제마진 약세 지속에도 불구하고 상향 조정된 국내 정제시설 가동률이 유지되며 전년동월비 1.4% 증가하였습니다. 10월 수출액은 단가 하락이 지속되는 상황 속에서 국내 정제설비 정기보수 등에 따른 물량 감소로 전년동월비 34.9%나 감소하였습니다.
무선통신기기
→ IT 디바이스 교체주기 도래 및 중국 경기부양책, 미 대선 이후 경기 회복 기대감 등에 따라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 증가세가 본격화되었습니다. 9월 생산은 수출 회복에 힘입어 전년동월비 10.1% 증가하고 출하도 36.7% 증가했으며, 이에 따라 가동률 역시 26.6% 상승하였습니다. 9월, 미 애플 신제품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면서 무선통신기기 수입은 전년동월비 59.9% 큰 폭 증가하였습니다.
반도체
→ 10월 수출액은 125억 4,400만 달러로 전년동월비 40.3% 증가하며 10월 월간 역대 최대수출액을 경신하였습니다. 9월 반도체 생산지수는 160.3으로 전년동월비 3.0% 하락하였으며, 전월비 또한 2.6% 하락하였습니다.
디스플레이
→ 10월 수출은 전년도 호실적 및 최근 IT 가전제품 수요 둔화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22.7% 감소하였습니다. 9월 생산은 전년동월비 0.3% 감소하며 출하(-0.2%) 및 재고(-3.3%)도 각각 감소하였습니다.
※ 출처 : 산업연구원(kiet.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