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Invest KOREA

검색
※ 아래 버튼을 클릭하시면 맞춤정보 검색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춤정보 검색 서비스 바로가기

산업동향

  • Home
  • 유망산업·입지
  • 최신 산업정보
  • 산업동향
[2025년 9월] 산업동향
작성일
2025.09.08

산업 전반

2025년 6월 산업활동은 광공업(전월비 1.6%/전년동기비 1.6%) 및 서비스업 (0.5% / 1.8%), 공공행정(1.4% / 1.5%) 생산이 모두 늘면서 전산업생산(1.2% / 0.8%)이 3개월만에 증가했습니다.
6월 한국의 산업 활동
전산업 생산 광공업 서비스업 소매판매 설비투자 건설기성
‘25.6월(%) 1.2 1.6 0.5 0.5 △3.7 6.7
6월 광공업은 전자부품 생산 큰 폭 감소에도 반도체 업황 호조, 자동차 실적 개선 등으로 3개월만에 증가세로 전환했습니다. 서비스업은 도∙소매, 금융∙보험, 전문∙과학∙기술 등 늘면서 증가했습니다. 다만, 보건∙복지, 숙박∙음식 등은 감소했습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제조용기계 등 기계류가 늘었으나, 항공기, 선박 등 운송장비가 줄며 감소했습니다. 건설기성은 토목 감소에도 건축이 크게 늘며 증가세로 전환했습니다.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건설기성 증가에도 내수출하∙광공업생산 등 줄며 하락했습니다.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기계류출하 감소에도 코스피 및 심리지수 증가하며 상승했습니다.

6월 산업활동 주요지표는 4∙5월 부진 흐름에서 벗어나 반등했습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 2차 추경 효과, 증시활성화, 소비심리 회복(7월, 4년1개월 來) 등이 향후 소비 등 경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됩니다. 소비 등 경기 활성화에 총력을 다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 출처 : 기획재정부 (moef.go.kr)

산업별

자동차

‘5월 수출, 대미 감소폭 확대로 감소세 지속’
→ 5월 수출은 완성차와 부품 모두 미국에 대해 감소세를 보이며 전년동월비 5.5% 감소했습니다. 4월 내수는 하이브리드차 판매 호조와 정책 효과에 힘입어 전년동월비 7.0% 증가했습니다. 4월 생산은 내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출 감소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감소세로 전환했습니다.

조선

‘생산∙출하 모두 높은 증가 지속’
→ 4월 생산은 전년동월비 47.3%나 크게 증가하며 고성장 흐름을 유지했습니다. 5월 수출은 전년동월비 4.3% 증가하며 3개월 연속 증가했습니다. 4월 수입은 선박을 중심으로 전년동월비 24.6%나 크게 증가했습니다. 미국의 SHIPS for America Act 및 중국 선박에 대한 항만세 부과 등 글로벌 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해 신조선 발주 전반이 위축된 가운데,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선방했습니다.

일반기계

‘4월 생산, 수출 부진에도 내수 회복으로 증가로 전환’
→ 4월 생산은 내수 회복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2.4% 증가했습니다. 5월 수출은 글로벌 투자심리 위축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5.3% 감소했습니다. 4월 수입은 내수 회복 및 설비투자 증가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6.6% 증가했습니다.

철강

‘4월 생산, 감소세 지속, 5월 수출, 감소로 전환’
→ 4월 생산은 신흥국으로의 수출물량 확대에도 불구하고, 설비 대보수 및 수요 부진에 따른 설비 가동 중단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2.6% 감소했습니다. 5월 수출은 수출단가 약세 및 미국 관세정책 등으로 인한 글로벌 시황 둔화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12.4% 감소했습니다. 4월 수입은 내수 부진과 반덤핑조사 개시에 따른 중국 및 일본으로부터의 수입물량 감소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15.4% 감소했습니다.

정유

‘5월 수출, 국제유가 하락 등으로 20% 이상 감소’
→ 4월 생산은 정제마진 하락에 따른 가동률 하락으로 전년동월비 2.8% 감소했습니다. 5월 수출액은 수출단가 하락 및 가동률 하향 조정에 따른 물량 감소로 전년동월비 9억 4,000만 달러 감소했습니다.

무선통신기기

‘수출, 관세 우려로 인한 선구매 수요 및 신규 슬림폰 출시로 3.9% 증가’
→ 5월 수출은 미국의 관세부과 우려로 인한 스마트폰 선구매 수요와 국내업체의 신규 슬림폰 수출 본격화 등으로 전년동월비 3.9% 증가했습니다.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은 지난해 수요회복기를 거쳐 올해 1분기 2% 이하로 소폭 증가한 가운데, 대중국 및 베트남 수출이 각각 35.3% 및 7.8% 증가했습니다. 4월 생산은 1분기 대비로는 감소하였지만 3월 이후 집중된 국내업체의 신규 스마트폰(갤럭시S25엣지 등) 생산량의 평준화 및 재고 조정 등으로 전년동월비 3.9% 증가했고, 출하는 1.9% 증가했습니다. 4월 수입은 스마트폰 부품 감소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7.7% 감소했습니다.

반도체

‘역대 수출 기록을 연이어 경신’
→ 5월 수출은 138억 달러로 전년동월비 21.2% 증가, 역대 5월 실적 중 최고 기록을 경신하며 반도체 수출 호조세를 지속했습니다. 4월 반도체 제조업 생산지수는 191.3으로 전월비 2.9% 하락하였으나, 전년동월비 21.8% 상승해 성장세를 지속했습니다.

디스플레이

‘5월 수출, 미국 관세 영향력으로 크게 축소’
→ 5월 수출은 미국 관세 영향력으로 인한 수요 축소로 전년동월비 18.0% 감소했습니다. 4월 생산지수는 68.8로 전년동월비 0.6% 하락하였으며, 전월비로도 6.4% 하락했습니다.
* 수출은 직전 달, 생산은 전전 달 자료가 통계청 최신 자료임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 출처 : 산업연구원(kiet.re.kr)

메타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