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Invest KOREA

검색
※ 아래 버튼을 클릭하시면 맞춤정보 검색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춤정보 검색 서비스 바로가기

산업동향

  • Home
  • 유망산업·입지
  • 최신 산업정보
  • 산업동향
[2025년 10월] 산업동향
작성일
2025.10.01

산업 전반

2025년 7월 산업활동은 광공업(전월비 0.3%/전년동월비 5.0%) 및 서비스업 (0.2% / 2.1%), 공공행정(2.8% / 0.8%) 생산이 모두 늘면서 전산업생산(0.3% / 1.9%)이 2개월 연속 증가했습니다.
7월 한국의 산업 활동
전산업 생산 광공업 서비스업 소매판매 설비투자 건설기성
‘25.7월(%) 0.3 0.3 0.2 2.5 7.9 △1.0
7월 광공업은 전월 기저 영향 등으로 반도체·자동차가 감소했으나, 전자부품·기계장비 등이 늘며 증가했습니다. 서비스업은 도·소매, 정보통신, 숙박·음식 등이 늘면서 증가했습니다. 다만, 금융·보험, 전문·과학·기술 등은 감소했습니다. 소매판매는 내구재, 준내구재, 비내구재 판매가 모두 늘며 ’23.2월 이후 29개월만에 최대로 증가했습니다.

설비투자는 일반산업용 기계 중심으로 기계류가 증가한 가운데, 자동차, 항공기 등의 운송장비가 크게 늘며 증가했습니다. 건설기성은 토목 증가에도 건축이 줄며 소폭 감소했습니다.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소매판매 등의 증가에도, 수입·非農취업자 감소 등으로 하락했습니다.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기계류출하 감소에도 주가 상승, 건설수주 증가 등으로 상승했습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등으로 소매판매가 29개월만에 최대폭 증가하는 등 산업활동 주요 지표가 2개월 연속 개선되는 모습입니다. 8월 소비심리 7년7개월來 최고치, 對美 관세협상 타결 등으로 기업심리가 반등하는 등 경기 회복에 긍정적 신호가 강화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내수 등 경기 활성화 및 美 관세 대응에 총력을 다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 출처 : 기획재정부 (moef.go.kr)

산업별

자동차

‘6월 수출, 친환경차와 중고차 호조로 증가 전환’
→ 6월 수출은 완성차 및 자동차부품의 대EU 증가에 힘입어 전년동월비 2.4% 증가했습니다. 5월 내수는 친환경차를 중심으로 한 수입차 등록 대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국산차 판매량 감소로 1.4% 감소했습니다. 5월 생산은 내수와 수출 동반 감소로 전년동월비 감소세를 지속했습니다.

조선

‘고성장세 지속’
→ 5월 생산은 전년동월비 39.2% 증가하며 뚜렷한 확장 국면을 유지했습니다. 6월 수출은 전년동월비 18.8% 증가했습니다. 5월 수입은 선박과 선박용 엔진이 주도하며 전년동월비 96.8% 증가했습니다. 5월까지 우리나라 누적 수주는 전년동기비 34.4% 감소하며, 57.7% 감소한 중국 대비 상대적으로 선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핵심 선종인 가스운반선의 발주가 급감하며 경쟁 심화가 우려됩니다.

일반기계

‘5월 생산, 내수와 수출 부진에도 증가세 지속’
→ 5월 생산은 내수 및 수출 부진에도 불구하고 전년동월비 1.3% 증가했습니다. 6월 수출은 글로벌 투자심리 위축 지속으로 전년동월비 7.6% 감소했습니다. 5월 수입은 내수 회복 및 설비투자 증가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1.9% 증가했습니다.

철강

‘5월 생산은 증가 전환, 6월 수출은 감소세 지속’
→ 5월 생산은 건설용 봉형강류 내수 부진 지속에도 불구하고 주요 판재류의 생산 확대로 전년동월비 2.7% 증가했습니다. 6월 수출은 최대 수출지역인 아세안으로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주요 수출국 경기 부진과 단가 하락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8.0% 감소했습니다. 5월 수입은 내수 부진에 따른 주요 제품의 수입물량 감소와 반덤핑 예비관세 부과에 따른 중국산 수입 위축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19.7% 감소했습니다.

정유

‘6월 수출, 저유가 지속에 따른 단가 하락으로 2.0% 감소’
→ 5월 생산은 정제마진 반등에도 불구 전월까지의 약세 지속에 따른 보수적 생산 유지로 전년동월비 2.9% 감소했습니다. 6월 수출액은 여름철 석유제품 수요 증가에 따른 수출물량 확대에도 불구하고 단가 하락으로 전년동월비 2.0% 감소했습니다.

무선통신기기

‘6월 수출, 부품 중심으로 전년동월비 3.6% 감소 전환’
→ 2분기 이후 세계 스마트폰 신규 출하량 전망치가 하향 조정되는 가운데, 6월 수출은 스마트폰 완제품 증가에도 불구 부품을 중심으로 전년동월비 3.6% 감소했습니다. 5월 생산은 전년동월비 6.0% 증가했고 출하도 12.2% 증가했으며 재고는 17.4% 감소했습니다. 5월 수입은 스마트폰 및 무선통신기기부품 수입 감소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5.1% 감소했습니다.

반도체

‘3개월 연속 역대 최대 수출 경신’
→ 6월 수출액은 149억 3,000만 달러로 전년동월비 11.2% 증가, 역대 6월 실적 중 최고 기록을 경신하며 반도체 수출 호조세를 지속했습니다. 5월 반도체 생산은 전년동월비는 18.1%나 증가했고 전월비도 2.0% 증가하는 등 성장세 지속했습니다.

디스플레이

‘6월 수출, 프리미엄 시장 둔화로 크게 감소’
→6월 수출은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 둔화로 인한 수요 위축으로 전년동월비 36.1%나 크게 감소했습니다. 올 상반기 수출은 IT향 OLED 패널 시장 확대에도 글로벌 소비여건 악화로 인한 수요 위축으로 전년동기비 14.4% 감소했습니다. 5월 생산은 전년동월비 2.8% 감소하였으며, 전월비로는 1.4% 증가했습니다.
* 수출은 직전 달, 생산은 전전 달 자료가 통계청 최신 자료임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 출처 : 산업연구원(kiet.re.kr)

메타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