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 Home
- 유망산업·입지
- 최신 산업정보
- 산업동향

산업 전반
전산업 생산 | 광공업 | 서비스업 | 소매판매 | 설비투자 | 건설기성 | |
---|---|---|---|---|---|---|
‘22.11월(%) | 0.1 | 0.4 | ∆0.6 | ∆1.8 | 1.0 | 1.4 |
글로벌 경기둔화, 반도체 경기하강, 금리 상승 등으로 수출과 투자 여건이 악화되는 가운데, 내수 회복 흐름이 제약되면서 향후 경기 흐름의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생산 측면에서 공급망 차질 완화 및 중국의 위드 코로나 정책 시행 등 긍정적 요인도 있으나, 수출 감소세 지속, 반도체 재고 누적, 화물연대 집단 운송거부 여파 등이 향후 부담이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소비 및 투자의 경우 외국인 관광객 증가 등 긍정적 요인도 존재하나, 반도체·부동산 경기하강, 높은 물가수준, 주요국의 통화 긴축 불확실성 등 위험 요인이 남아있습니다.
※ 출처 : 기획재정부 (moef.go.kr)
산업별
자동차
→ 2022년 10월 생산은 공급망 문제 완화와 전년도 기저효과로 인해 전년동월비 22.8% 증가하며 6개월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습니다. 11월 내수는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부품 공급 문제 개선으로 공급물량이 증가하면서 전년동월비 9.1% 증가했습니다. 11월 수출은 미국과 중동 지역으로 수출이 증가하며 전년동월비 21.7% 증가했습니다. 완성차 수출은 31.0% 증가하며 5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대미국·대중동 수출과 전기차 수출이 완성차 전체 수출 증가를 견인했습니다. 자동차 부품 역시 해외 생산 증가로 대미·대EU 지역 수출이 증가하며, 5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조선
→ 2022년 10월 누적 세계 선박 발주는 전년동기비 21% 감소했으나, 우리나라는 다수의 카타르 LNG운반선과 컨테이너선을 계약하는 등 예상보다 많은 물량을 수주하면서 전년동기비 1% 감소했습니다. 10월 수입은 선박용 엔진이 감소했으나, 화물선과 선박용 부품이 증가하면서 전년동월비 11.8% 증가했습니다. 11월 수출은 전년동월에 고가의 모잠비크 FLNG 수출에 따른 역기저효과와 선박 인도 감소로 전년동월비 68.2% 감소했습니다.
일반기계
→ 2022년 10월 생산은 수출 부진 지속에도 불구하고, 큰 폭의 내수 확대에 힘입어 전년동월비 5.7% 증가했습니다. 내수출하와 설비투자가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면서 생산은 8월 이후 3개월 연속 증가했습니다. 10월 수입은 25억 2,000만 달러로 전년동월비 1.0% 감소했습니다. 11월 수출은 대중국 기계류 수입 수요 둔화 여파로 전년동월비 1.7% 감소했습니다. 하지만 미국, 유럽 등 선진국권 수출은 인프라 개선 투자에 따른 기계류 신규 및 교체 수요가 이어지며 양호한 실적을 유지했습니다.
철강
→ 2022년 10월 철강 생산은 수요회복 부진과 태풍피해에 따른 생산 차질 지속, 노조 파업 등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24.6% 감소했으나, 전월비 감소폭은 개선되었습니다. 11월 수출은 동절기 비수기 진입에 따른 글로벌 수요 감소 및 주요 품목의 수출단가 하락으로 인해 전년동월비 10.6% 감소했습니다. 10월 수입은 내수 부진 및 단가 하락 영향으로 전년 동월비 20.9% 감소했습니다.
정유
→ 2022년 10월 생산은 내수 및 수출 동반 부진으로 전년동월비 소폭 확대에 그쳤습니다. 11월 수출액은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동절기 대체 연료 수요 확대 및 항공유 중심의 글로벌 수요 회복세가 지속하는 등 48억 8,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동월비 26.0% 증가했습니다.
무선통신기기
→ 2022년 10월 생산은 전년동월비 24.6% 증가하고, 출하 역시 21.0% 증가하면서 4분기 이후 휴대폰 수요 회복이 예상됩니다. 10월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 수는 전년동월비 3.2%, 전월비 0.1% 소폭 증가했습니다. 10월 수입은 휴대폰과 무선 교환기 및 중계기를 중심으로 전년동월비 7.8% 증가했습니다. 반면 11월 수출은 중국, 동남아시아, 미국을 중심으로 18.7% 감소했습니다.
반도체
→ 2022년 10월 반도체 생산과 출하는 전년동월비 각각 -2.2% 및 18.6%로 생산은 감소했으나, 출하는 증가세로 전환되었습니다. 11월 수출액은 84억 5,000만 달러로 전년동월비 29.8% 감소하였고, 장기간의 증가세가 꺾인 이후 4개월 연속 감소했습니다. 글로벌 경기 둔화 영향으로 인해 반도체 수요가 감소하고 재고 누적으로 인한 단가 하락지속으로 수출 전망이 불투명합니다.
디스플레이
→ 2022년 10월 생산은 주요 수요 제품의 수요축소로 하락세를 지속했습니다. 10월 수입은 스마트폰 재고량 축소로 17.2% 하락했습니다. 또한 11월 수출은 스마트폰 생산 감소에 따른 OLED, LCD 감산으로 인해 15.6% 하락했으며, 6개월 연속 감소세를 지속했습니다.
※ 출처 : 산업연구원(kiet.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