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ICT
- Home
- 유망산업·입지
- 산업
- 정보통신ICT
-
세계 최초, 그리고 세계 최고의 IT 강국 내용닫기세계 최초, 그리고 세계 최고의 IT 강국한국은 ICT 산업의 글로벌 리더이다.
한국은 세계 최초로 CDMA(1996년), LTE-A(2013년), 5G(2019년)를 상용화했으며,
높은 ICT 기술 수준과 보급률을 바탕으로 ICT부문 글로벌 리더로 평가받고 있다."ICT보급(ICT Adaption, 2020)"
- 1위:한국
- 2위:UAE
- 3위:홍콩
- 4위:스웨덴
- 5위:일본
- 6위:싱가포르
- 7위:아이슬란드
- 8위:노르웨이
- 9위:카타르
- 10위:리투아니아
※ ICT보급 : 초고속인터넷 현황과 신기술 도입 적극성 등에 대해 평가
※ 출처: WEF(The World Economic Forum) The Global 2019
Competitiveness Report 2020"디지털 경쟁력 지표"
- 디지털 경쟁력 (출처 : IMD) 2017 - 19위 2020 -8위
- 정부 인공지능 준비지수 (출처 : Oxford Insights) 2017 - 26위 2020 - 7위
- 5G 네트워크 평가 (출처 : 옴디아) 2020.06 - 1위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1년도 업무계획특히, 스마트폰 및 네트워크 장비 제조사가 글로벌 시장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으며, 한국의 이동통신 서비스 또한
세계적 혁신을 선도하고 있다. 국내 스마트폰 제조사는 5G와 폴더블 대중화를 추진하며 프리미엄 리더십을
강화하는 동시에 중저가 스마트폰 라인업 강화하여 2011년 이래 세계 스마트폰 판매 1위 유지 중이다.※ 삼성전자의 폴더블 스마트폰 점유율(Counterpoint, %(만대)) : (‘20)73(204) → (‘21e)88(792) → (’23e)75(2,100)"세계 스마트폰 시장의 상위 5위 업체 시장점유율 추이"(단위 : %)세계 스마트폰 시장의 상위 5위 업체 시장점유율 표로 순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정보제공 순위 2016 2017 2018 2019 2020 1 삼성 22.5% 삼성 20.5% 삼성 20.9% 삼성 19.2% 삼성 18.8% 2 애플 15.9% 애플 14.4% 애플 14.0% 화웨이 15.6% 애플 14.8% 3 화웨이 7.3% 화웨이 8.9% 화웨이 9.8% 애플 12.6% 화웨이 13.5% 4 오포 일렉트로닉스 5.1% 오포 일렉트로닉스 5.7% 샤오미 7.3% 샤오미 8.2% 샤오미 10.8% 5 vivo 4.6% vivo 4.8% 오포 일렉트로닉스 6.5% 오포 일렉트로닉스 7.7% 오포 일렉트로닉스 8.3% ※ 출처 : Gartner (판매량 기준) -
국가경제를 주도하는 주력 산업 내용열기국가경제를 주도하는 주력 산업2020년 기준, GDP에서 ICT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1.4%(1,775억 달러)로 한국 경제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특히, 휴대폰은 한국의 15대 수출 품목 중 하나로 2020년 한국 전체 수출의 약 2.2%를 차지했으며,
5G 상용화로 통신서비스 산업의 매출은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휴대폰 수출 실적(억 달러) : (‘17년)190 → (’18년)146 → (‘19년)120 → (’20년)112
※ 통신서비스 매출 실적(조 원) : (‘17년)38.0 → (’18년)37.3 → (‘19년)36.5 → (’20년)37.1(단위 : 십억원)ICT 산업 생산(매출)액 표로 순위, 년도별 정보제공 순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ICT 전체 4,310,446 4,716,630 5,017,265 4,628,612 4,793,643 기기 3,090,158 3,427,552 3,679,382 3,227,288 3,320,840 서비스 726,886 748,828 766,745 781,574 808,327 SW 493,402 540,251 571,139 619,750 664,477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ICT주요품목동향조사
※ 국가통계포털(KOSIS) [바로가기] -
한국 진출 글로벌 기업의 5G 사업 강화 내용열기한국 진출 글로벌 기업의 5G 사업 강화한국에 진출한 글로벌 ICT 기업은 최근 5G 관련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한국 투자를 통해 2G부터 통신시장을 주도한 스웨덴 기업 에릭슨은 최근 한국 이동통신사와 공동으로
5G R&D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 핀란드 기업 노키아는 한국에서의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해외 네트워크
품질·성능 개선을 지원하고 있으며, 5G 등 차세대 네트워크 인프라 가상화 및 솔루션을 제공한다.(‘20.12월 기준)에릭슨엘지- 투자가 : 에릭슨
- 국가 : 스웨덴
- 소재지 : 서울
- 품목 : 유무선 교환장비, 전송장비, 통신시스템 등
- 종업원수 : 668 (‘19.12월 기준)
- 매출액
- ’17년 : 2.4억 달러
- ’18년 : 2.0억 달러
- ‘19년 : 4.5억 달러
노키아솔루션앤네트웍스코리아- 투자가 : 노키아
- 국가 : 핀란드
- 소재지 : 서울
- 품목 : 통신장비, 시스템 등
- 종업원수 : 274(‘19.12월 기준)
- 매출액
- ’17년 : 1.7억 달러
- ’18년 : 1.1억 달러
- ’19년 : 4.9억 달러
또한 각종 글로벌 기업의 5G, AI, 클라우드, e커머스, O2O, 게임 관련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향후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투자는 지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디지털 뉴딜 분야 외국인직접투자(산업부 투자유치과, 억불) : (‘20.상) 14.5 → (’21.상) 33.3(+129.3%)
※ 정보통신 분야 외국인직접투자(산업부 투자유치과, 억불) : (‘20.상) 10.2 → (’21.상) 31.7(+210.8%) -
5G+ 전략과 디지털 뉴딜 내용열기5G+ 전략과 디지털 뉴딜2019년 4월 한국 정부는 5G 조기 상용화 및 5G 기반 신산업 육성을 위해 “5G플러스(5G+)” 전략을 공표하였다.
5G 기반 10대 핵심산업과 5대 핵심서비스에 중점투자를 통해 5G+ 기반 신산업을 육성하고,
2026년까지 세계 시장의 15%를 점유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정부 및 공공분야에서
선도적으로 5G를 도입하여 민관협력 체계를 구축한다."5G+ 전략의 10대 핵심산업 및 5대 핵심 서비스"5G- 10대 핵심산업
- 네트워크
- 차세대 스마트폰
- VR·AR 디바이스
- 웨어러블 디바이스
- 지능형 CCTV
- (미래형) 드론
- (커넥티드) 로봇
- 5G V2X
- 정보보안
- 엣지컴퓨팅
- 5대 핵심서비스
- 실감콘텐츠
- 스마트공장
- 자율주행차
- 스마트시티
- 디지털 헬스케어
※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혁신성장 실현을 위한 5G+전략2020년 7월 한국 정부는 "한국판 뉴딜 정책"을 공표하였으며, 추후 D.N.A(Data, Network, AI) 생태계에 집중 투자 계획을 밝혔다.
5G 전국망 구축 지원, AI 융합프로젝트 추진 등을 통해 전 산업의 데이터, 5G, AI 활용 및 융합을 가속화 하는 것이 그 목표이다.
1년간 비대면 거래·교육 확산 등 신속한 디지털 전환으로 코로나 19 위기 극복에 기여하였으며 견조한 회복세를 실현하였다.2021년 7월에는 급격히 변화한 환경에 맞춰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기존 뉴딜 전략을 발전·보완한 "뉴딜 2.0 전략"을 수립하였다.
디지털 융·복합 및 뉴딜 1.0성과를 경제사회 전반으로 확산하고 메타버스, 클라우드, 블록체인 등 초연결 신산업을 육성하고자 한다.※ ‘22년 디지털뉴딜 재정투자 : (뉴딜 1.0) 8.6조원 → (뉴딜2.0) 8.7조원 이상
※ ‘25년 디지털뉴딜 누적 재정투자 : (뉴딜 1.0) 44.8조원 → (뉴딜2.0) 49조원 수준"디지털 뉴딜1.0과 뉴딜 2.0"디지털 뉴딜1.0과 뉴딜 2.0 표로 뉴딜1.0 (현재) “경제 기반 디지털 전환 추진”, “디지털 융·복합 확산" 정보제공 디지털 뉴틸 뉴딜1.0 (현재) “경제 기반 디지털 전환 추진” D.N.A 생태계 강화 - 데이터·5G·AI 융합 및 활용 촉진기업·산업 디지털화 추진
교육인프라 디지털 전환 - 스마트학교, 온·오프 융합학습 등
비대면 산업 육성 - 의료·돌봄 인프라 디지털 비대면화, 소상공인 온라인 비즈니스 지원 등
SOC 디지털화 - 교통·재난관리 등 디지털화, 스마트 산단·시티 물류체계 구축
뉴딜2.0(변경) “디지털 융·복합 확산" D.N.A 생태계 강화 - 마이데이터 산업확산(개인정보법개정) 및 가명정보 활용 지원
- 디지털 경제전환 3법 제정
- 6G 국제공동 연구개발 협력체계 구축
비대면 인프라 고도화(통합) - 초·중·고 고성능 WiFi 조기구축
- 닥터앤서 클리닉 운용, 지능형 응급의료 서비스 보급추진
- 스마트기술(IoT, AI 등)을 활용한 스마트상점 질적 고도화
메타버스 등 초연결 신산업 육성 - 개방형 메타버스 플랫폼 구축 및 다양한 메타버스 콘텐츠 제작 지원
-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한 5G·AI 기반 로봇·서비스 융합 실증
- 다부처 대규모 블록체인 기술 융합·연계 프로젝트 추진
- 지능형 IoT 서비스 발굴 및 적용확산
SOC 디지털화 -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 확대 구축
※ 자료 : 한국판 뉴딜 2.0 - 10대 핵심산업
-
수도권, 대구∙경북권 통신기기 제조업 발달 내용열기수도권, 대구∙경북권 통신기기 제조업 발달한국에는 지역별로 ICT 산업과 관련된 클러스터가 분포되어 있으며, 분야별로 살펴보면 스마트폰은 수도권, 대구·경북권 중심으로,
네크워크 장비는 수도권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5G 망 인프라는 수도권 중심에서 전국으로 확산하는 구축 계획을 실행 중에 있다“ 한국 ICT 클러스터 현황 ”- 서울(구로, 테헤란, 상암 등): 디지털 콘텐츠, 정보통신, SW, 정보융합부품
- 반월/시화: 전기전자
- 경기(화성, 평택, 파주, 기흥, 이천, 판교, 수원, 등): 반도체, 디스플레이, 네트워크 장비 등 (삼성전자, SK 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등)
- 인천: 바이오, 디지털사이니지, 로봇(콘텐츠)
- 충남(천안/아산): 디스플레이 산업(삼성디스플레이, 코닝정밀소재 등)
- 전남광주: 광산업(광통신, 광정보기기), 가전 등(LG이노텍, 금호HT, 오이솔루션, 삼성전자, 위니아전자, 캐리어 등)
- 제주: 전기자동차, 스마트그리드 등
- 강원:멀티미디어 컨텐츠 산업(춘천), 의료전자(원주) 등
- 충북: ICT 반도체, 2차 전지 등 (SK하이닉스, 동부하이텍, LG화학, W-SCOPE 등)
- 세종: 세종 첨단산업단지(세종테크노벨리)
- 대전: 대덕 연구개발특구, 지능형로봇 등
- 경북: 모바일·스마트 디바이스(구미, 경산), 전자부품, 디스플레이 등 (삼성전자,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등)
- 대구(성서): 모바일, IT전기전자
- 울산: 자동차, 조선, 전기·에너지(삼성SDI 등)
- 부산: 지식형 서비스산업 인프라(문화콘텐츠), 클라우드/IOT, 해양ICT 등
※ 자료협조 :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
단지명안양평촌스마트스퀘어도시첨단산업단지
-
최초지정일2012.04.03
-
지정면적(km2)255,065
-
관리기관경기도 안양시
-
인근철도역광명역
-
역과 거리(km)9
-
인근공항김포국제공항
-
공항과의 거리(km)27
-
공업용수 공급용량(톤/일)1251(㎥/일)
-
가정용수 공급용량(톤/일)-
-
소속 기초 지자체경기도 안양시
-
인구수(명)554,857
-
단지명회동·석대도시첨단산업단지
-
최초지정일2008.08.27
-
지정면적(km2)228,604
-
관리기관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인근철도역부전역
-
역과 거리(km)12
-
인근공항김해국제공항
-
공항과의 거리(km)33
-
공업용수 공급용량(톤/일)2939(㎥/일)
-
가정용수 공급용량(톤/일)-
-
소속 기초 지자체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인구수(명)403,118
-
단지명대덕연구개발(제2지구)[구:대덕테크노밸리]
-
최초지정일1991.12.05
-
지정면적(km2)4,270,056
-
관리기관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
인근철도역대전역
-
역과 거리(km)13
-
인근공항청주국제공항
-
공항과의 거리(km)44
-
공업용수 공급용량(톤/일)130000(㎥/일)
-
가정용수 공급용량(톤/일)-
-
소속 기초 지자체대전광역시 유성구
-
인구수(명)1,469,431
-
단지명정읍첨단과학(RFT)일반산업단지
-
최초지정일2007.06.29
-
지정면적(km2)896,321
-
관리기관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
인근철도역천원역
-
역과 거리(km)6
-
인근공항광주공항
-
공항과의 거리(km)51
-
공업용수 공급용량(톤/일)4,720(㎥/일)
-
가정용수 공급용량(톤/일)-
-
소속 기초 지자체전라북도 정읍시
-
인구수(명)109,167
-
단지명대구테크노폴리스일반산업단지(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
-
최초지정일2006.12.29
-
지정면적(km2)7,259,403
-
관리기관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
인근철도역동대구역
-
역과 거리(km)4
-
인근공항대구국제공항
-
공항과의 거리(km)5
-
공업용수 공급용량(톤/일)8508(㎥/일)
-
가정용수 공급용량(톤/일)-
-
소속 기초 지자체대구광역시 달성군
-
인구수(명)258,234
-
단지명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
-
최초지정일2004.10.23
-
지정면적(km2)1,098,878
-
관리기관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
인근철도역-
-
역과 거리(km)-
-
인근공항제주공항
-
공항과의 거리(km)14
-
공업용수 공급용량(톤/일)1025(㎥/일)
-
가정용수 공급용량(톤/일)-
-
소속 기초 지자체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인구수(명)672,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