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콘텐츠
- Home
- 유망산업·입지
- 산업
- 문화 콘텐츠
-
‘한류’ 로 대표되는 대한민국 문화콘텐츠산업의 저력 내용닫기‘한류’ 로 대표되는 대한민국 문화콘텐츠산업의 저력문화콘텐츠산업은 기술과 인간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꿈과 감성을 파는 사회(Dream Society)’(Jensen, 2005)를
산업적으로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4차 산업혁명과 메타버스 시대를 맞이하여 세계인이 함께 즐기는 대한민국 문화콘텐츠의
영향력은 점점 커지는 추세이다.한국 문화콘텐츠 시장 규모는 약 709억 달러(2023년 전망치)로 세계 7위 수준이며, 지난 20여 년 동안
글로벌 시장에서 ‘한류’의 명성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세계 시장에서 인정받은 한국의 문화콘텐츠"Netfilx의 ‘오징어 게임’ - 2021년 영화 <오징어게임>은 넷플릭스를 통한 공개와 동시에 모든 국가에서 1위를 차지할 정도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으며, 세계 곳곳에서 영화에 등장한 캐릭터와 놀이를 따라하며 산업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상당한 파급력을 보여줌방탄소년단 기획사 HYBE - 2018년부터 글로벌 스타의 지위를 꾸준히 유지하고 있는 BTS가 2021년 발표한 Butter는 Billboard HOT 100 1위에 10주 간 랭크되었으며, Permission to Dance, My Universe까지 모두 3곡의 노래가 Billboard HOT 100 1위를 차지하며 세계 문화콘텐츠시장 에서 주류(mainstream)에 가까워지고 있음을 증명함"세계 문화콘텐츠 시장 규모"(단위 : 억 달러)세계 문화콘텐츠 시장 규모 표로 순위, 국가, 년도(2020~2025), 연평균성장률(%) 정보제공 순위 국가 2020p 2021 2022 2023 2024 2025 연평균성장률(%) 1 미국 8,446 8,925 9,519 9,885 10,230 10,543 4.54 2 중국 3,449 3,699 3,939 4,153 4,339 4,505 5.49 3 일본 1,943 2,034 2,109 2,156 2,201 2,243 2.91 4 독일 999 1,058 1,128 1,169 1,206 1,237 4.36 5 영국 971 1,058 1,136 1,197 1,250 1,305 6.10 6 프랑스 680 728 782 816 849 878 5.25 - 7
- 한국
- 598
- 641
- 679
- 709
- 735
- 759
- 4.87
8 캐나다 544 574 610 636 660 681 4.62 9 이탈리아 382 417 454 472 488 500 5.54 10 인도 352 401 448 494 540 586 10.75 ※ 출처 : KOCCA(2022). 2021 해외콘텐츠시장 분석 -
한국 문화 콘텐츠산업 동향 내용열기한국 문화 콘텐츠산업 동향한국 문화콘텐츠산업 매출액은 128.3조원, 수출 119.2억 달러, 고용은 64.2만 명으로,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매출 4.9%, 수출 18.7%, 고용 0.4%로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20년 결산 기준) 세부 산업별로 보면, 매출액은
방송산업(22.0조원)과 출판산업(21.6조원) 순으로 높게 나타나며, 수출액은 게임산업이 81.9억 달러 수준으로
전체 문화콘텐츠산업 수출액의 68.7%를 차지한다.※ 자료 : 문화관광체육부(2022), 2021 콘텐츠산업통계(2020년 기준)"한국 문화콘텐츠산업 현황"한국 문화콘텐츠산업 현황 표로 구분, 사업체수(개), 종사자수(명), 매출액(백만 원), 부가가치액(백만 원), 부가가치율(%), 수출액(천 달러), 수입액(천 달러), 무역수지(천 달러) 정보제공 구분 사업체수
(개)종사자수
(명)매출액
(백만 원)부가가치액
(백만 원)부가가치율
(%)수출액
(천 달러)수입액
(천 달러)무역수지
(천 달러)출판 25,244 185,444 21,648,849 8,758,970 40.5 345,960 254,371 91,589 만화 6,144 11,230 1,534,444 562,733 36.7 62,715 6,493 56,222 음악 33,138 65,464 6,064,748 1,982,931 32.7 679,633 12,146 667,487 영화 916 10,497 2,987,075 1,015,512 34.0 54,157 28,330 25,827 게임 11,541 83,303 18,885,484 8,320,944 44.1 8,193,562 270,794 7,922,768 애니
메이션490 5,472 553,290 232,909 42.1 134,532 7,791 126,741 방송 1,070 50,239 21,964,722 7,699,900 35.1 692,790 60,969 631,822 광고 6,337 68,888 17,421,750 5,874,614 33.7 119,935 98,672 21,263 캐릭터 2,700 36,505 12,218,076 4,863,779 39.8 715,816 158,420 557,396 지식정보 9,949 93,182 19,373,367 8,686,346 44.8 691,987 9,467 682,520 콘텐츠
솔루션2,022 31,863 5,635,230 2,546,517 45.2 233,196 13,369 219,827 전체 99,551 642,086 128,287,034 50,545,154 39.4 11,924,284 920,822 11,003,462 ※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2022). 2021 콘텐츠산업통계(2020년 기준)한국 문화콘텐츠산업 규모 매출액 추이(단위 : 조원)- 2016 - 106.1
- 2017 - 113.2
- 2018 - 119.6
- 2019 - 126.7
- 2020 - 128.3
한국 문화콘텐츠산업 규모 수출액 추이(단위 : 억달러)- 2016 - 60.1
- 2017 - 88.1
- 2018 - 96.2
- 2019 - 101.9
- 2020 - 119.2
※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2022). 2021 콘텐츠산업통계(2020년 기준) -
한국 진출 글로벌기업의 활발한 콘텐츠 제작 내용열기한국 진출 글로벌기업의 활발한 콘텐츠 제작외국인 직접투자는 출판, 영화, 방송, 게임, 엔터테인먼트산업 등 상대적으로
기업규모가 큰 영역에서 이루어지며, 넷플릭스, 화이브라더스가 대표적인 한국 진출 기업이다.-
넷플릭스
- 미국 최대 OTT 플랫폼 넷플릭스는 ‘한류’의 영향력과 한국 문화산업의 뛰어난 역량을 바탕으로 한국 시장에 진출, 상대적으로 저렴한 제작비에 우수한 콘텐츠를 생산하여 한국시장 뿐만 아니라 아시아,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콘텐츠 확보
- 넷플릭스는 2016년 한국시장 진출 후 80개 작품을 190개 국가에 선보였으며, 2020년까지 7,700억원을 투자하였고 2021년에도 5500억원 투자를 약속
- 넷플릭스는 한국 시장 투자를 통해 다양한 산업에서 5조 6,000억원의 파급효과가 발생하였고 일자리 1만 6000개 생산함. 패션, 푸드 등 한 발 떨어진 산업에서도 약 2조 7000억원 경제적 효과 발생하였다고 밝힘
-
화이브라더스
- 중국 內 증가하는 문화콘텐츠 수요를 충족하기 위하여 한국 콘텐츠 기업에 대한 투자 추진
- 2018년 영화제작사 ‘메리크리스마스’에 약 800만 달러 투자, 지분 75% 취득 후 자회사로 전환
- 2019년 ‘이랜드월드’에 주식 매입을 통한 전략적 지분 투자, 소속 배우를 활용한 마케팅과 미디어 커머스 분야 지원
-
넷플릭스
-
웹툰(Webtoon)기업 해외진출 및 투자 유치 내용열기
-
문화콘텐츠산업 디지털 역량 강화와 생태계 혁신을 위한 코로나19 극복 콘텐츠산업 혁신전략 내용열기문화콘텐츠산업 디지털 역량 강화와
생태계 혁신을 위한 코로나19 극복 콘텐츠산업 혁신전략2021년 11월 국무총리 주관 제7차 콘텐츠산업진흥위원회 개최하여 코로나19 극복과정을 계기로
문화콘텐츠산업 디지털 역량 강화와 생태계 혁신을 위한 <코로나19 극복 콘텐츠산업 혁신전략> 발표하였다.비전 - 코로나19 극복 콘텐츠 산업 혁신 세계가 사랑하는 한국문화, 문화로 커가는 대한민국방향- 코로나19 극복과정을 예술로 기록, 문화가치 확산을 통한 일상 회복
- 콘텐츠산업 디지털 역량 강화 및 지역·사람 중심 콘텐츠산업 생태계 혁신
- 재외한국문화원 K-콘텐츠 아웃바운드 플랫폼 역할 강화
"코로나 19 극복 컨텐츠산업 혁신전략 목표" -
문화 산업 클러스터 내용열기문화 산업 클러스터창의력과 상상력을 원천으로 하는 산업의 특성상 입지여건의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인적자원이 중심이 되는
산업적 특성상 문화콘텐츠 기업의 90% 이상이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에 분포하고 있다.- 2021년 10월, 고양시 K-POP 전용 공연장 ‘CJ LIVE CITY’ 조성 계획 발표, 2024년 개장 목표
- 2021년 11월, 국보급 문화재부터 근현대 미술품까지 아우르는 ‘이건희 컬렉션’이 서울 종로구 송현동 부지에 들어설 예정. 인접한 국립현대미술관과 서울공예박물관 등과 시너지 효과 발생 예상, 2027년 개관 목표
정부의 지역문화산업 강화 정책에 따라 문화콘텐츠기업 유치 및 관련 산업의 집적화를 통한 시너지 효과 창출을 위해
문화산업단지, 문화산업진흥지구, 문화산업진흥시설 등이 정부 주도로 구성되었다. 또한 문화산업진흥기본법에 의거
해당 지역 입주기업에게는 각종 부담금 면제와 인허가 혜택, 세제 혜택 부여하여 장르별 유리한 입지가 형성하고 있다."2022년 문화콘텐츠산업 정책 목표"- 춘천: 애니메이션
- 부천: 만화, 애니메이션
- 고양: 방송영상(방송,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 인천: 차세대 실감형 콘텐츠
- 성남: 게임산업 및 IPTV 산업
- 천안: 문화디자인
- 청주: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산업
- 대전: 첨단영상(영화), 게임
- 안동: 영상, 공예, 공연/전시산업
- 전주: 한국 전통 문화콘텐츠, 영상
- 대구: 게임, 모바일 콘텐츠, 캐릭터, 뉴미디어 콘텐츠
- 광주: 아시아문화중심도시 문화산업 투자진흥지구 지정
- 부산: 영화와 게임
- 제주: 디지털영상, 모바일 콘텐츠
※ 자료협조 :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22년 문화콘텐츠산업 정책 목표 표로 구분, 개념, 입주 혜택, 지정 현황 정보제공 구분 개념 입주 혜택 지정 현황 문화산업 단지 기업, 대학, 연구소, 개인 등이 공동으로 문화산업과 관련한 연구개발, 기술훈련, 정보교류, 공동제작 등을 할 수 있도록 조성한 토지‧건물‧시설의 집합체로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정‧개발된 산업단지 - 각종 부담금 면제(대체산림자원조성비, 농지보전부담금 등 5종)
- 각종 인‧허가 혜택(공공하수도 공사 시행, 하천‧도로공사 시행 및 점용 등 34종)
- 세제혜택(취득세, 등록세 면제, 재산세 50% 면제 등)
- 청주(2002.3)
- 춘천(2008.1)
문화산업 진흥지구 문화산업 관련기업 및 대학, 연구소 등의 밀집도가 다른 지역보다 높은 지역으로 집적화를 통한 문화산업 관련기업 및 대학, 연구소 등의 영업활동‧연구개발 ‧인력양성 ‧공동제작 등을 장려하고 이를 촉진하기 위하여 지정된 지역 - 각종 부담금 면제(대체산림자원 조성비 등 4종)
- 각종 인‧허가 혜택(공공하수도 공사 시행, 하천・도로공사 시행 및 점용 등 9종)
- 부산, 대구, 대전, 부천, 전주, 천안, 제주(2008.2)
- 인천, 고양 (2008.12)
문화산업 진흥지구 문화산업 관련 사업자와 그 지원시설 등을 집단적으로 유치함으로써 문화산업 관련사업자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시설 - 각종 부담금 면제(개발부담금, 과밀부담금 등 7종)
- 세제혜택(취득세, 등록세 면제, 재산세 50% 면제 등)
- 서울 상암동 문화콘텐츠센터(2007.3)
-
단지명송도지식정보산업단지(인천경제자유구역)
-
최초지정일2000.09.18
-
지정면적(km2)2,401,745
-
관리기관인천경제자유구역청
-
인근철도역부평역
-
역과 거리(km)18
-
인근공항인천공항
-
공항과의 거리(km)31
-
공업용수 공급용량(톤/일)-
-
소속 기초 지자체인천광역시 연수구
-
인구수(명)2,943,491
-
단지명춘천도시첨단문화산업단지
-
최초지정일2008.01.25
-
지정면적(km2)186,922
-
관리기관강원도 춘천시
-
인근철도역지평역
-
역과 거리(km)60
-
인근공항원주공항
-
공항과의 거리(km)78
-
공업용수 공급용량(톤/일)-
-
소속 기초 지자체강원도 춘천시
-
인구수(명)281,854
-
단지명춘천전력IT문화복합일반산업단지
-
최초지정일2009.06.05
-
지정면적(km2)353,659
-
관리기관강원도 춘천시
-
인근철도역양평역
-
역과 거리(km)49
-
인근공항원주공항
-
공항과의 거리(km)65
-
공업용수 공급용량(톤/일)1,706(㎥/일)[공업용수/생활용수 구분 없음]
-
소속 기초 지자체강원도 춘천시
-
인구수(명)281,854
-
단지명청주도시첨단문화산업단지
-
최초지정일2002.03.25
-
지정면적(km2)47,900
-
관리기관충청북도 청주시
-
인근철도역오근장역
-
역과 거리(km)6
-
인근공항청주국제공항
-
공항과의 거리(km)9
-
공업용수 공급용량(톤/일)-
-
소속 기초 지자체충청북도 청주시
-
인구수(명)843,782
-
단지명파주출판문화정보국가산업단지
-
최초지정일1997.03.26
-
지정면적(km2)1,561,939
-
관리기관한국산업단지공단
-
인근철도역파주역
-
역과 거리(km)17
-
인근공항김포국제공항
-
공항과의 거리(km)29
-
공업용수 공급용량(톤/일)2176(㎥/일)
-
소속 기초 지자체경기도 파주시
-
인구수(명)459,158
-
단지명송암일반산업단지
-
최초지정일1979.07.04
-
지정면적(km2)415,946
-
관리기관광주시(송암산단협의회)
-
인근철도역광주역
-
역과 거리(km)14
-
인근공항광주공항
-
공항과의 거리(km)9
-
공업용수 공급용량(톤/일)6000000(㎥/일)
-
소속 기초 지자체광주광역시 남구
-
인구수(명)1,454,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