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편의시설
- Home
- 투자가이드
- 생활정보
- 교통 및 공공·편의시설
- 공공·편의시설
공공기관
행정기관
일상생활을 하면서 찾게 되는 행정기관으로는 읍, 면사무소와 동 주민센터, 시·군·구청이 있다. 최근에는 행정기관에 직접 찾아가지 않아도 주요 지하철역의 무인민원발급기나 정부민원포털 민원24 인터넷 홈페이지(www.minwon.go.kr)를 통해서도 민원서류를 발급받을 수 있다.정부민원포털 민원 24 홈페이지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 7개의 언어를 제공하고 있다.
경찰서(☏ 112)
소방서(☏ 119)
한국에서는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뿐만 아니라, 응급 환자 발생 시에도 소방서에 신고하여 응급 조치를 취할 수 있다.우체국
기본요금
통상우편 380원(25g), 등기소포 3,500원(1kg), 우체국택배 5,000원(2kg)국내우편
- 취급점 : 전국 우체국, 우편취급소
- 주요 업무 : 우편물 취급, 택배(소포배달), 은행업무, 보험업무
- 운영시간 : 월∼금 09:00∼16:30 (금융서비스)/ 월∼금 09:00∼18:00 (우편물서비스)
- 문의 : 1588-1300 / 02-2108-9895
- 우편번호 검색 : 전국 각 우체국, 인터넷우체국(http://www.epost.kr)과 우정사업본부 (http://www.koreapost.go.kr), 우체국 앱(App)에서 제공
국제우편
- 통상우편물, 소포, 국제특급(EMS, Express Mail Service)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소포의 경우 최대 20kg, EMS의 경우 최대 30kg까지 우송 가능하며 보내고자 하는 국가나 물건의 종류, 규격, 무게에 따라 요금이 달라진다. 국가별로 상이한 중량 제한은 우체국 또는 관련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 우편번호는 5자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네이버 우편번호 검색 & 인터넷 우체국에서 우편번호 검색서비스가 제공된다.
- 요금 : EMS 요금은 인터넷(http://koreapost.go.kr)에서, 국제통상우편과 국제소포는 콜센터로 문의
- EMS : 급한 편지, 서류나 소포 등을 빠르고 안전하게 외국으로 배달해 주는 국제특급우편으로, 취급국가가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다. 현재 143개국으로 EMS 발송이 가능하며, 나머지 72개 국가는 EMS프리미엄으로 발송 가능하다.
국제운송
회사명 | 홈페이지 | 전화번호 | 제공 언어 |
---|---|---|---|
DHL Korea | https://www.logistic.dhl | 1588-0001 | 한국어, 영어 |
FedEx | https://www.fedex.com | 080-023-8000 | |
UPS Korea | https://www.ups.com/kr | 1588-6886 |
은행
영업시간
오전 9:00부터 오후 4:00까지 (주말, 공휴일 제외)통장 및 계좌 개설
- 신청방법 : 지점방문 신청
-
필요서류: (거주자) 여권, 외국인등록증, 도장(서명) (비거주자) 여권, 운전면허증, 신용카드, 도장(서명)
※ 단, 필요서류의 경우 은행별, 통장 종류별로 상이하기 때문에 은행에 문의하여 자세히 알 수 있음 - 참고사항 : 신분확인을 위해 여권이나 여행증명서를 사용하는 경우, 한국 내 주소와 연락처를 기재하여야 하며 신분을 증명할 수 있는 증빙서류(모국의 신분증, 한국에서 사용하는 신용카드 또는 한국 내에서의 납세 영수증)를 제출하여야 한다.
외국은행 국내지점 현황
국가 | 은행명 | 국가 | 은행명 |
---|---|---|---|
미국 |
|
중국 |
|
캐나다 |
|
파키스탄 |
|
프랑스 |
|
일본 |
|
네덜란드 |
|
필리핀 |
|
인도 |
|
영국 |
|
호주 |
|
스위스 |
|
인도네시아 |
|
이란 |
|
독일 |
|
싱가포르 |
|